Tech Note
도커를 활용한 몽고 DB 설치하기 #2 (Robomongo)
Dominic-Kim
2022. 6. 27. 13:00
728x90
DB 작업 시 CLI 형식으로 작업하는 경우도 있지만 GUI 형식으로 가능하다면 무조건 GUI 형식의 툴을 사용하는 편이다.
일단 보기 편하기 때문에, 개발 속도 및 트러블 슈팅, 모든 면에서 확연하게 속도 차이가 있기 때문에 애용하는 편인데,
Mysql, MariaDB와 같은 RDBMS 사용해봤다면, HeidiSql을 써봤을 것이다. MongoDB에도 동일한 툴들이 존재하고, 그 중에서 Robomongo 라는 툴이 가장 깔끔해보여 설치해보려고 한다.
해당 URL을 통해 먼저 다운로드를 한다.
Robo 3T | Free, open-source MongoDB GUI (formerly Robomongo)
Read by Dmitry Schetnikovich
robomongo.org
운영체제에 맞게 설치를 해준다.
설치 중간에 qurey builder, shell-centric 중 쿼리 작성 방법을 선택하라고 한다.
직접 쿼리를 작성하는 shell-centric 방식이 좀 더 친숙하지만 MongoDB 자체를 처음 다뤄보기 때문에 qurey builder로 진행한다. 익숙해지면 변경 할 예정이다.
모든 설정이 완료되면 기존 몽고서버와 연결을 해야하는데, 도커로 설치해둔 몽고서버는 디폴트 값이므로 아래와 같이 설정했다.
접속이 완료된 화면
사용 중 불편하거나 새롭게 유용한 툴을 발견하게 되면 또 포스팅하고자 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