도커를 활용한 서비스 배포하기 (image search, pull) #2
2022. 6. 15. 09:25ㆍTech Note
728x90
centos7에 docker를 설치했으니 다음 과정은 개발 서버에서 실 서버로 옮기는 일련의 과정을
정리해두는 것이다. 애초에 Docker 이미지를 옮겨서 설치하기로 한 이유는 폐쇄망 환경에서 라이브러리 유동성을 확보하고 패치, 배포 과정을 하나의 과정으로 축약시키기 위함이다.
그러기 위해서는 아래의 과정이 전부 가능해야 한다.
1. Window/Mac 등의 개발 PC에서 작성한 Docker 이미지를 .tar 파일로 생성한다.
2. 생성된 .tar 파일을 실 서버에 수정 없이 등록 할 수 있어야 한다.
3. 등록된 이미지를 기존 사용 중인 컨테이너와 서비스 가용성 훼손없이 교체한다.
4. 이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기존 컨테이너로 복구한다.
순서는 조금 다르지만 운영서버에 도커를 설치하였으니,
다음에 해야 할 일은 개발 PC에 도커를 설치하는 것이다. ( 본인은 Window 환경에서 개발한다 )
https://www.docker.com/get-started/
위 링크를 통해 Docker를 설치 후 실행해보자.
다운로드 받고자하는 이미지를 먼저 검색한다.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한다.
docker search [이미지명]
>docker search centos
NAME DESCRIPTION STARS OFFICIAL AUTOMATED
centos The official build of CentOS. 7190 [OK]
centos/systemd systemd enabled base container. 108 [OK]
centos/mysql-57-centos7 MySQL 5.7 SQL database server 95
kasmweb/centos-7-desktop CentOS 7 desktop for Kasm Workspaces 21
centos/mongodb-36-centos7 MongoDB NoSQL database server 8
kasmweb/core-centos-7 CentOS 7 base image for Kasm Workspaces 3
continuumio/centos5_gcc5_base 3
< 생략 >
CentOS 7 버전 다운로드
>docker pull centos:7
7: Pulling from library/centos
2d473b07cdd5: Pull complete
Digest: sha256:c73f515d06b0fa07bb18d8202035e739a494ce760aa73129f60f4bf2bd22b407
Status: Downloaded newer image for centos:7
docker.io/library/centos:7
확인해보면 centos 이미지가 설치된 것을 볼 수 있다.
>docker images
REPOSITORY TAG IMAGE ID CREATED SIZE
centos 7 eeb6ee3f44bd 9 months ago 204MB
이제 작업을 위한 이미지 세팅은 완료되었다.
'Tech Not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도커를 활용한 서비스 배포하기 (save, load, export, import) #4 (0) | 2022.06.16 |
---|---|
도커를 활용한 서비스 배포하기 (네트워크 설정 및 컨테이너 생성) #3 (0) | 2022.06.16 |
도커를 활용한 서비스 배포하기 (rpm 설치) #1 (0) | 2022.06.08 |
크롤링 API 서버 개발 #2 (크롤링, Axios, Cherrio) (0) | 2022.05.15 |
크롤링 API 서버 개발#1 (기획 및 기본 서버 설정) (0) | 2022.05.09 |